연도별 기후재난 경제피해액. 기후솔루션 제공폭우, 태풍, 폭염 등 지구온난화로 가속되고 있는 기후재난이 지난해까지 11년간 우리나라에 16조원에 가까운 경제적 피해를 입힌 것으로 분석됐다. 피해규모는 최근 6년새 추세적 증가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환경단체 기후솔루션은 더불어민주당 모경종 의원실과 함께 발간한 \'기후의 역습, 10년간 연도·지역별 기후재난 피해 양상 분석\' 정책보고서를 통해 이같은 사실이 드러났다고 29일 밝혔다. 이들에 따르면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11년간 기후재난에 따른 직접 피해액은 4조1천억원, 이를 복구하는 데 투입된 비용은 11조8천억원이었다. 합산 경제피해액은 15조9천억원에 달한다. 연도별로 가장 경제피해액이 컸던 때는 2020년으로 5조5천억원이 기록됐다. 이 해에는 집중호우로 44명, 폭염으로 29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뒤이어 2022년(2조8천억원), 지난해(2조3천억원), 2019년(1조8천억원) 순이었다. 재난별로는 이 기간 가장 큰 피해가 호우로 인해 발생해, 경제피해액 9조9천억원을 기록했다. 이어 태풍(4조8천억원), 산불(1조1천억원), 한파(294억원), 하천범람(203억원), 폭염(43억원) 등이 있었다. 인명피해는 2013년 이래 지난해까지 총 341명이 사망·실종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는 전년대비 7.5배 증가한 2018년이 53명으로 최대치였고, 재난별로는 폭염이 193명으로 가장 많은 피해를 냈다. 기후솔루션은 \"연도별로 기후재난의 규모의 변화를 보면 산업화 대비 평균 지구 온도가 상승할수록 우리나라도 점차 기후 재난의 규모가 확대되는 경향이 있었다\"고 밝혔다. 이들은 2022년 경제피해액은 2013년(5417억원) 보다 5.3배 가량 많고, 특히 2019~2023년 경제피해액이 뚜렷한 우상향이라고 설명했다.
인명피해에서도 기상관측 이래 최악의 폭염을 기록한 2018년을 기준으로 현격한 차이가 나타났다. 2013~2017년 5년간 평균 인명피해는 4명이었으나, 2018~2023년 6년간의 평균 인명피해는 53.5명으로 13배가 넘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지난해 발표한 6차 종합보고서에는 지구 온도가 1도 상승할 때마다 폭우, 태풍, 폭염과 같이 극심한 기상이변이 더욱 높은 확률로 발생할 것이라는 경고가 담겼다. 기후솔루션 제공이런 가운데 최근 11년간 17개 광역시도별 기후재난 피해양상은 수도권과 비수도권이 차별화됐다고 기후솔루션은 주장했다.인구수 대비 경제피해는 경북(153만4천원), 강원(137만3천원), 전남(105만7천원), 충남(83만8천원), 충북(82만6천원) 등이 상위에 올랐다. 반대로 경기(9만6천원 12위), 서울(2만4천원 15위), 인천(1만2천원 17위)는 하위권이었다. 기후솔루션은 \"세계 온실가스 70% 이상이 도시민의 생활에 의해 배출되고 있다.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지역의 책임이 매우 크지만, 피해는 비수도권 지역에 더 강하게 미치고 있다\"며 \"정부와 지자체는 지역 소재 다배출 기업 및 발전소에 더 적극적인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요구해야 한다\"고 밝혔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