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그룹 계열사간 내부거래 3년 만에 감소…지난해 거래금액 195조

연합뉴스총수가 있는 상위 10대 기업집단의 내부 거래금액이 3년 만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수일가와 총수2세 지분율이 높으면 내부거래 비중도 증가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같은 내용의 \'공시대상기업집단 내부거래 현황\'을 26일 밝혔다.공정위에 따르면 지난 5월 지정된 88개 공시대상기업집단의 지난해 국내외 계열사 전체 내부거래 비중은 32.5%, 금액은 704조4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국내 계열사 간 내부거래 비중은 12.8% 277조9천억원으로 금액은 2.8조원, 비중은 0.6%p 증가했다.총수가 있는 상위 10대 집단(삼성, SK, 현대자동차, LG, 롯데, 한화, GS, HD현대, 신세계, CJ)의 국내 계열사 간 내부거래 금액은 194조8천억원, 매출액은 1343조2천억원으로, 각각 2022년 대비 1조6천억원, 73조1천억원 감소했다. 이는 2020년 이후 3년 만의 감소다.이들 집단의 내부거래 비중은 14.5%로 공시대상기업집단 전체 12.8%보다 1.7%p 높고, 전년과 비교하면 0.6%p 증가했다.전년 대비 내부거래 비중이 증가한 집단은 한화(1.8%p), 롯데(1.7%p), 삼성(1.3%p) 등이었다.최근 5년간 내부 거래 비중이 가장 많이 증가한 집단은 현대자동차(2.0%p), 삼성(1.4%p), 한화(1.3%p) 순이었으며 현대자동차는 10대 기업 중 유일하게 5년째 내부거래 비중이 증가했다. 공정위는 완성차 판매 호조에 따른 부품 계열사들의 매출 증가를 요인으로 분석했다.국내외 계열사 전체 내부거래 비중이 가장 높은 집단은 셀트리온(65.0%)이었으며, 한국앤컴퍼니그룹(59.3%), 삼성(56.0%), 현대자동차(55.4%), SK(51.5%) 순이었다.총수 일가 지분율과 내부거래 비중은 정비례했다. 총수일가 및 총수2세 지분율이 높을수록 내부거래 비중이 크게 나타났다.특히 총수2세의 경우, 지분율이 50% 이상인 계열회사의 국내계열사 간 내부거래 비중이 25.8%에서 29.0%로 3.2%p 큰 폭으로 증가하는 등 총수2세 지분율이 100%를 제외한 대부분 구간에서 전년 대비 두드러지게 확대됐다.

내부 거래 금액은 총수 일가 지분율이 20% 이상인 회사는 24조3천억원에서 19조1천억원으로 감소한 반면 총수 2세 지분율이 20% 이상인 회사는 3조6천억원에서 3조9천억원으로 증가했다.공정위는 \"계열사 간 내부거래 비중과 금액이 크다는 것만으로 부당 내부거래 소지가 높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면서도 \"총수 일가 지분율과 내부거래 비중 간 양의 상관관계가 지속되고 있어 모니터링의 필요성은 상당하다\"고 설명했다.특수관계인의 부당이익 제공 행위 관련 규제 대상 회사, 즉 총수 일가 보유 지분이 20% 이상인 회사 또는 동 회사가 지분 50% 초과 보유한 자회사의 국내외계열사 전체 내부 거래액은 49조3천억원, 비중은 15.4%였다. 국내 계열사 간 내부거래 비중은 11.0%, 35조2천억원 규모였으며 이 가운데 89.6%는 수의계약을 통해 이뤄졌다.상표권 사용계약을 체결하고 대가를 지불하는 유상 사용 집단수와 거래 규모는 각각 70개와 2조354억원으로 전년보다 증가했다. 총수가 있는 집단과 없는 집단의 상표권 유상 사용 비율은 각각 80.8%, 70.0%로 나타났다.공정위는 \"상표권 유상 사용 계약을 체결하는 집단의 수와 거래 규모가 계속 증가하고 있어 거래 관행이 투명해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면서도 \"총수 일가 지분율이 높은 회사의 상표권 사용료 수입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향이 있어 지속적인 점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