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종완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이 31일 브리핑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제공제주항공 참사 기체의 블랙박스 해독 작업이 개시된 가운데 국토교통부는 사고기체의 양쪽 엔진이 모두 꺼졌다면 랜딩기어 수동 조작에 문제가 생겼을 수 있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콘크리트 구조물 관련 논란과 관련해 규정을 다시 살펴보겠다는 입장도 내놨다.
유경수 항공안전정책관은 31일 오후 브리핑에서 \"모든 것은 추정\"이라고 전제하면서 \"엔진 두 개가 모두 고장나면 유압계통에 이상 생겨 랜딩기어 작동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조종간도 일부 유압계통 조작에 장애가 생기는 게 맞다\"고 덧붙였다. 참사 당일 사고기체는 1차 착륙 실패 뒤 반대방향으로 활주로에 진입했는데, 재착륙 시도 때 랜딩기어가 펼쳐지지 않아 동체착륙이 진행됐다. 일각에서는 1차 착륙 시도 때만 해도 랜딩기어가 내려왔었는데 재시도 때는 작동하지 않았다는 의혹도 나왔다. 1차 착륙 시도 때 조류충돌 뒤 오른쪽뿐 아니라, 양쪽 엔진 모두 고장났다면 \'수동으로도\' 작동이 가능한 랜딩기어가 조작불능에 빠졌을 수 있는 셈이다. 사고 기체는 엔진이 모두 고장나는 경우 보조동력장치(APU) 작동까지 최대 1분가량 모든 전자기기 전원이 나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유 정책관은 \"이는 엔진이 고장 나고, 랜딩기어가 안 나왔다는 전제에서의 추정\"이라며 \"당시 조종사들이 어떤 상황에서 레버 작동이 되지 않았는지, 이런 상황들은 정확히 블랙박스 분석을 통해 결론이 내려져야 하는 사안\"이라며 거듭 신중론을 폈다. 그는 또 \"당시 기체의 상태를 알 수 없지만, 정상적이었다면 그 위치에서는 랜딩기어가 당연히 내려와 있어야 한다\"면서 재착륙 때의 랜딩기어가 매우 이례적 상태였음을 지적했다. 희생된 조종사도 이같은 \'상식\'을 믿었다가 불의의 동체착륙을 겪었을 가능성이 없지 않다. 이날 브리핑에서 국토부는 무안공항의 방위각표시시설(로컬라이저) 콘크리트 구조물 관련 입장을 번복하기도 했다. 국내외 규정상 문제없다는 입장이었다가, 국토부고시에 저촉될 가능성에 대해 관련 규정을 재검토하겠다고 한발 물러섰다.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탑승객 181명을 태운 여객기가 착륙 중 활주로를 이탈해 사고가 발생한 지난달 29일 사고현장에서 소방대원들이 수습작업을 벌이고 있다. 무안(전남)=황진환 기자국토부는 종단안전구역 밖에 설치돼 있는 해당 구조물은, 구역 내 안전규정과 무관하다는 입장이었다. 하지만 공항·비행장시설 및 이착륙장 설치기준 제21조상 해당 구조물을 종단안전구역 내 시설로 해석할 여지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기 때문이다.
김홍락 공항정책관은 \"사실관계를 확인하겠다. 기준의 해석을 어떻게 할지, 규정상 \'까지\'의 의미가 포함(including)인지 한도(up to)인지 등을 확인하겠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다만 이 구조물이 참사를 더 키웠느냐에 대해서는 예단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주종완 항공정책실장은 \"콘크리트 구조물이 위험하다는 전제로 접근하기보다는 조사 결과를 두고봐야 한다. 이 구조물이 없었더라도 외벽이 바로 뒤에 있었고, 피해상황은 여러 시나리오가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2007년 준공된 무안공항의 해당 구조물은 최초 설계 때부터 이미 콘크리트 지지대가 내부에 들어가 있는 형태였고, 지난해 진행된 개량사업 때 분리된 말뚝형태에 두께 30cm 콘크리트 상판을 보강하는 식으로 현재에 이른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한편 국토부는 이날 블랙박스 해독이 개시됐다고 밝혔다. 국토부에 따르면 음성기록장치(CVR)는 자료 추출이 시작됐고, 전원공급 커넥터가 분실된 비행기록장치(FDR)의 경우 데이터 추출을 위한 기술적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 FDR에는 25시간, CVR에는 2시간 분량의 비행 상황이 기록돼 있다. 사고 조사는 우리측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사고조사관 11명, 미국 측 8명이 공동으로 진행 중이다. 미국 측에서는 연방항공청(1명), 교통안전위원회(3명), 항공기 제작사인 보잉사(4명)가 참여하고 있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