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 근로자 10명 중 6명은 취업 1년 이내 퇴사

연합뉴스신규 취업한 임금 근로자의 1년 이상 고용 유지율이 40%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자 10명 중 6명은 1년 이내 퇴사하는 셈이다.

3일 한국고용정보원의 \'임금 근로자의 1년 이상 고용 유지율 변화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새롭게 취업해 고용보험에 가입한 임금 근로자의 1년 이상 고용 유지율은 2021년 기준 40.1%였다. 2021년 새로 취업한 근로자 10명 중 6명은 1년 이내에 그만뒀다는 의미다.신규 취업자의 1년 이상 고용 유지율은 2012년 42.4%에서 2017년 41.2%까지 점진적으로 낮아졌다. 이후 2018년과 2019년엔 42%대로 다시 올랐으나,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한 2020년 39.6%까지 떨어진 바 있다.반면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임금 근로자의 평균 근속기간은 2012년 64개월에서 2021년 70개월, 2024년엔 76개월까지 꾸준히 증가했다.근속기간만 보면 고용 안정성이 높아지는 것처럼 보이지만, 고용 유지율은 10년간 제자리거나 오히려 소폭 후퇴한 것이다.

신규 취업자 수가 줄며 전체 근로자에서 신규 취업자 비중이 작아져 평균 근속기간은 늘었지만, 신규 취업자의 고용 안정성은 전체 근로자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선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는 분석이다.장사랑 고용정보원 책임연구원은 \"안정적인 일자리는 안정성이 강화하고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일자리는 그렇지 못한 노동시장 이중구조의 모습\"이라고 말했다.2021년 1년 이상 고용 유지율을 성별로 보면 남성이 42.4%, 여성이 37.9%로, 여성이 더 낮았다. 연령별로는 30대(46.0%)와 40대(43.8%)가 상대적으로 높고, 60세 이상(34.0%)과 29세 이하(37.4%)는 낮았다. 학력이 낮을수록 고용 유지율도 낮아졌다.코로나19 이후 고용 유지율이 낮아지던 시기엔 여성의 고용 유지율 감소 폭이 남성보다 크게 나타나는 등 전반적으로 10년 사이 성별, 연령별, 학력별 격차가 벌어졌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장 연구원은 \"고용지표가 악화하는 시기에 고용 유지율이 낮은 집단을 지원할 세심한 정책이 필요하다\"며 \"아울러 고용 유지율 변화 원인을 산업요인 등 노동 수요 측면에서 추가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