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ckchainRoller

크립토 뉴스는 오늘날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에 관한 가장 중요한 뉴스, 기사 및 기타 콘텐츠를 제공하는 플랫폼입니다.

김치프리미엄 0.63%, 비트코인 8만6600달러선

한국에서 해외 대비 암호화폐 가격이 높게 형성되는 '김치프리미엄'이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7일 8시32분 기준 크라이프라이스에 따르면 김치프리미엄(업비트<>바이낸스)은 0.63%를 기록하고 있다. 전날 0.74% 대비 소폭 축소되며 국내 매수세가 일부 약화된 것으로 해석된다. 코인별 김치프리미엄 현황 비트코인(BTC) 8만6746달러 1억2822만원 0.63% 이더리움(ETH) 2003.03달러 296만5000원 0.77% 솔라나(SOL) 136.58달러 20만2100원 0.73% 엑스알피(XRP) 2.341달러 3466원 0.78% 도지코인(DOGE) 0.1944달러 287원 0.58% 김치프리미엄은 한국 거래소에서 암호화폐 가격이 해외보다 높게 형성되는 현상으로, 국내 수요 급증이나 해외 유동성 부족 등의 이유로 발생한다. 김치프리미엄의 축소나 음수 전환은 국내 매수세의 약화……

Read More
경기도의원 62% 재산 증가…가상자산 평균액도 2.8배↑

제11대 경기도의원의 62%가 한해 사이 재산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보유 재산은 1년 전보다 1천400만원 감소한 11억원이었다. 27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2025년도 정기재산변동 공개목록(2024년 12월 31일 기준)에 따르면 전체 경기도의원 154명 가운데 96명(62.3%)의 재산이 증가했다. 전체 평균 재산은 11억900만원으로, 전년도(2023년 12월 31일 기준) 11억2천300만원보다 1천400만원 줄었다. 김진경(더불어민주당·시흥3) 의장은 4천600만원 늘어난 5억6천900만원을 신고했는데, 보험료와 예금 증가, 채무 감소 등에 따른 것이라고 사유를 설명했다. 도의원 중 최고 재산가는 지난해에 이어 김성수(국민의힘·하남2) 의원으로 신고액은 250억800만원이었다. 김 의원의 경우 전년도(259억6천800만원)와 비교해 본인 소유 건물과 토지가……

Read More
국회의원 재산공개…미술품·훈민정음 NFT 등 이색 자산 눈길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가 27일 공개한 2025년 국회의원 정기재산 목록에 훈민정음해례본 NFT 등 이색 디지털 자산이 눈길을 끌었다. 이 외에도 비트코인, 저작권, 명품, 미술품 등 다채로운 자산들이 이번 정기 재산공개에 포함됐다. 더불어민주당 이상식 의원은 배우자 명의로 이우환 화백의 작품을 포함한 회화 및 공예품 총 9점을 15억200만원에 신고했다. 국민의힘 고동진 의원은 본인과 배우자 명의로 총 6천420만원 상당의 서양화 4점을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민주당 이상식 의원은 배우자 명의로 다이아몬드(1억5천만원)와 사파이어(5천만원)를, 같은 당 김남희 의원은 본인 소유의 다이아 반지(1천만원)과 다이아 목걸이(700만원)를 신고했다. 국민의힘 김장겸(금 24k……

Read More
증시는 트럼프 관세 우려에 \'흔들\'...게임스탑, 비트코인 투자 선언에 11% 급등

비트코인 투자 기업으로 변신을 선언한 게임스탑이 주가 급등을 기록하며 주목받았다. 하지만 뉴욕증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를 앞둔 불확실성에 기술주 중심으로 동반 하락세를 보였다. 26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우량주 그룹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132.71포인트(0.31%) 낮은 42,454.79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64.45포인트(1.12%) 내린 5,712.20, 나스닥종합지수는 372.84포인트(2.04%) 밀린 17,899.01을 각각 기록했다. 전날까지 3거래일 연속 동반 상승했던 3대 지수는 한꺼번에 미끄럼을 탔다. S&P500 구성 종목 절반 이상이 빨간불을 켜고 마감했다. 특히 빅테크 종목이 약세를 보여 나스닥지수는 작년 12월 16일 장중에 기록한 최고점(20,204.58) 대비……

Read More
리플-SEC 합의로 블랙록 XRP ETF 기대감↑…폴리마켓 승인 확률 86%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리플(Ripple)의 법적 분쟁이 사실상 마무리되면서, 블랙록(BlackRock)이나 피델리티(Fidelity)와 같은 대형 자산운용사의 XRP 현물 ETF 출시 가능성에 시장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26일(현지시간) 크립토슬레이트에 따르면, ETF 전문기업 ETF Store의 대표 네이트 제라시(Nate Geraci)는 “리플과 SEC 간의 법적 갈등이 마무리되면 XRP ETF 출시가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고 밝히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그는 블랙록과 피델리티 등 주요 자산운용사들이 XRP 기반 투자 상품을 출시할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XRP는 비스테이블코인 기준 시가총액 3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기관 투자자 및 ETF 발행사들에게 매력적인 지표로 작용할……

Read More
美 상원, DeFi 과세 보고 의무 철회… 트럼프 서명만 남았다

미국 상원이 탈중앙화 금융(DeFi) 프로토콜의 과세 보고 의무를 없애는 결의안을 통과시키면서, 이 법안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서명을 앞두고 있다. 26일(현지시간) 미국 상원은 ‘IRS DeFi 브로커 규정’을 철회하는 결의안을 70대 28로 가결했다. 해당 규정은 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 도입된 법안으로, DeFi 프로토콜이 미국 국세청(IRS)에 거래 내역을 보고하도록 요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번 결의안은 지난 3월 하원을 통과한 뒤 상원에서 최종 승인을 받았으며, 트럼프 대통령의 책상으로 보내지게 됐다. 백악관의 인공지능(AI) 및 암호화폐 정책 책임자인 데이비드 색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해당 규정을 철회하는 데……

Read More
[트렌드 리서치] 한국 투자자들 \"BTC 올해 2억원 간다\"

국내 투자자들이 올해 비트코인 가격이 1억 5000만원~2억원 미만 범위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웹3 컨설팅 기업 디스프레드와 코인니스가 공동으로 제작한 \'2024 대한민국 가상자산 개인 투자자 트렌드 리포트\'를 보면, 해당 가격 구간을 꼽은 응답자 비율은 37.68%였다. 2억원 이상을 선택한 투자자도 37.04%로 근사한 수치를 보였다. 올해 암호화폐 전망은 긍정적이 60.4%, 매우 긍정적이 31.56%였다. 올해 암호화폐 투자 성향을 묻는 질문에는 2024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투자하겠다는 응답이 46.2%로 가장 많았다. 이번 조사는 코인니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유효 응답자는 3,108명이다. 조사 기간은 지난해 12월 10일~13일이다. <저작권자 ⓒ……

Read More
[트렌드 리서치] 韓 투자자 꼽은 작년 수익률 2위는 XRP

한국 투자자들이 꼽은 지난해 수익이 가장 높은 암호화폐는 비트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웹3 컨설팅 기업 디스프레드와 코인니스가 공동으로 제작한 \'2024 대한민국 가상자산 개인 투자자 트렌드 리포트\'를 보면, 비트코인을 꼽은 비율은 22.17%였다. XRP는 18.16%로 2위를 기록했다. 이어 ▲DOGE(6.97%) ▲SOL(4.19%) ▲ETH(3.82%) 등이었다. 국내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보유한 암호화폐도 응답 비율 28.65%로 비트코인이 차지했다. XRP, ETH, DOGE가 뒤를 이었다. 이번 조사는 코인니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유효 응답자는 3,108명이다. 조사 기간은 지난해 12월 10일~13일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ad More
[트렌드 리서치] 韓 투자자 5명 중 1명 \"차트 분석해 투자 판단\"

국내 투자자들이 암호화폐 투자를 선택할 때 \'뉴스\'를 가장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트 분석 및 자체 리서치는 두 번째였다. 웹3 컨설팅 기업 디스프레드와 코인니스가 공동으로 제작한 \'2024 대한민국 가상자산 개인 투자자 트렌드 리포트\'를 보면, 암호화폐 투자 선택 기준으로 뉴스를 택한 응답자는 29.3%였다. 차트분석 및 자체 리서치는 22.75% ▲펀더멘탈 12.04% ▲커뮤니티 여론 10.79% ▲전문가 추천 9.49% ▲사용 거래소 상장 여부 9.00% 등이었다. 이번 조사는 코인니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유효 응답자는 3,108명이다. 조사 기간은 지난해 12월 10일~13일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Read More
[디지털자산 커스터디] ③ 콜드 월렛 vs. 핫 월렛 – 디지털자산 보관 전략

[편집자주] 디지털자산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보관과 보호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기관 투자자는 물론 개인 투자자들 역시 자산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최적의 방안을 고민해야 하는 시점이다. 이에 따라, 토큰포스트 북클럽은 조진석 저자의 『디지털자산 커스터디의 현재와 미래』를 기반으로 디지털자산 보관의 핵심 개념과 최신 동향을 분석하는 연재 시리즈를 선보인다. 이번 연재에서는 커스터디 서비스의 개념, 최신 기술 트렌드, 글로벌 규제 변화, 주요 기업들의 전략 등을 심층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디지털자산 시장의 미래를 결정할 커스터디 서비스의 흐름을 놓치지 않도록, 매주 새로운 인사이트를……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