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최홍 기자 = 국내 가계부채가 연일 사상 최대를 기록하고 있다. 가계부채는 소비 여력을 낮추고 한국 경제성장의 걸림돌이 된다는 점에서 국가경제의 뇌관으로 꼽힌다. 그만큼 금융당국의 역할과 책임이 막중하다. 문제는 종종 금융당국의 대출 정책이 일관성이 없어 혼란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지난해 대출정책 방향이 오락가락한 것이 대표적인 예다. 실제로 지난해 금융감독원은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대출 금리를 높인 은행들을 비판했다. 이에 은행들이 다양한 대출 규제 조치를 내놓자 이번엔 다시 실수요자 피해를 지적하며 제동을 걸었다. 또 금융위원회는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2단계를 아무런 예고도 없이 2개월 연기하면서……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