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AP/뉴시스] 2023년 3월22일(현지 시간) 뉴욕 증권거래소 앞을 사람들이 지나가고 있다. 2025.05.24.
[서울=뉴시스]임철휘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애플과 유럽연합(EU)을 상대로 고율 관세를 경고하면서 23일(현지 시간) 뉴욕증시 주요 지수가 일제히 하락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 지수는 전장 대비 256.02포인트(0.61%) 하락한 4만1603.07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39.19포인트(0.67%) 내린 5802.82,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188.53포인트(1.00%) 밀린 1만8737.21에 장을 닫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미국 내에서 생산되지 않은 아이폰에는 최소 25%의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고 밝히며 애플을 직접 겨냥했다.
이에 애플 주가는 전장보다 6.09포인트(3.02%) 하락한 195.27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EU와의 무역 협상에 대해 \"아무 진전도 없다\"며 \"오는 6월1일부터 EU산 제품에 대해 50%의 일괄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트럼프의 이번 발언은 그간 완화되던 관세 긴장에 다시 불을 붙이며 시장의 불안을 키웠다.
그는 지난 4월 대부분 국가에 관세를 부과해 증시를 흔들었고, 이후 영국·중국과 예비 합의를 통해 90일간 고율 관세를 유예하면서 증시가 반등한 바 있다. 그러나 이날 하락으로 S&P500은 다시 연중 손실 구간으로 돌아섰다.
베어드의 투자전략가 로스 메이필드는 CNBC에 \"지난 6주간 시장은 관세 완화 기대에 힘입어 75년 만에 가장 강한 흐름을 보였지만, 이번 경고는 그런 흐름에 찬물을 끼얹는 셈\"이라고 말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일본제철과 US스틸 간의 파트너십 체결을 공식화한 뒤 US스틸 주가는 이날 21% 급등했다.
이번 하락으로 S&P500, 다우, 나스닥은 모두 주간 기준 2% 넘게 하락했다.
RFG 어드바이저리의 회장 릭 웨델은 \"트럼프 2기 행정부 동안 무역 관련 긴장 완화와 재격화가 반복되는 롤러코스터 장세가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며 \"이 행정부는 무역을 핵심 유산으로 여기고 있으며, 결코 방관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