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ckchainRoller

크립토 뉴스는 오늘날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에 관한 가장 중요한 뉴스, 기사 및 기타 콘텐츠를 제공하는 플랫폼입니다.

M2 둔화 속 유동성·심리 회복 신호…비트코인 전환 구간 주목

M2(광의통화)는 현금과 요구불예금(M1·협의통화)에 더해 2년 미만 정기예금, 머니마켓펀드(MMF) 등 비교적 쉽게 현금화할 수 있는 금융자산을 포함하는 통화 공급 지표다. 소비·투자·대출에 활용할 수 있는 자금량을 반영해, 글로벌 유동성의 척도로 활용된다. 비트코인은 '유동성 바로미터'로 불릴 정도로 M2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왔다. 약 10주 시차를 두고 M2를 따라가는 경향이 있다. [편집자주] 글로벌 유동성이 단기적으로 둔화된 가운데, 비트코인 시장은 여전히 뚜렷한 확산보다는 '전환 가능성'을 가늠하는 국면에 머물러 있다. 구조적 자금 유입과 투자 심리 회복 사이의 균형이 향후 방향성을 결정할 주요 변수로 부상하고 있다. 비지오메트릭스(bgeometrics)에 따르면……

Read More
해시드, 비대쉬벤처스와 ‘블록체인 리더스 서밋 도쿄 2025’ 개최

글로벌 웹3 벤처캐피털 해시드가 오는 8월 일본 벤처투자사 비대쉬벤처스(B Dash Ventures)와 함께 도쿄에서 ‘블록체인 리더스 서밋 도쿄 2025(Blockchain Leaders Summit Tokyo 2025, 이하 BLS 도쿄 2025)’를 개최한다고 26일 밝혔다. 올해로 2회째를 맞이하는 BLS 도쿄 2025는 글로벌 블록체인 업계 리더들과 일본의 블록체인 생태계를 긴밀히 연결하고, 일본 등 아시아 웹3커뮤니티의 활성화와 성장을 목표로 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이벤트다. 양사는 지난해 7월 50여명 이상의 글로벌 웹3 주요 연사들과 300여 명의 주요 일본 정부 및 기관 인사들, 글로벌 산업 관계자들을 초청해 첫번째 행사인 ‘BLS 도쿄……

Read More
[코인 동향분석] 자산가 순매수 1위 이더리움클래식(ETC)...어베일(AVAIL) RSI 3.97%

[빗썸/시장동향] 자산가들이 전날 주로 매수한 암호화폐는 이더리움클래식(ETC) 비트코인 캐시(BCH) 테더(USDT) 에이다(ADA) 시바이누(SHIB) 순으로 집계됐다. 자산가들이 매수한 자산은 빗썸 내 자산규모 상위 800명이 자산 별 전체 거래금액 대비 어제 순매수한 거래금액 비율을 보여주는 지표다. 예를 들어 상위 800명 중 400명이 비트코인을 순매수했다면(비트코인 순매수 거래금액/비트코인 전체 거래금액)*100 비율인 50%로 노출된다. [지금이 저점일까?] [빗썸/시장동향] 암호화폐 거래소 빗썸의 상대강도지수(RSI)에 따르면 25일 10시 38분 어베일(AVAIL) RSI 3.97%를 기록했다. 상대강도지수(RSI)는 14일 동안의 가격 상승폭과 하락폭 간의 상대적인 강도를 나타내는 기술적 지표다. 일반적으로 30% 이하면 과매도 국면으로……

Read More
[코인 TOP 10 주간동향] 액세스프로토콜(ACS) 100%↑... 펀디엑스(PUNDIX) 매수 체결 강도 선두

가상자산 거래소인 업비트의 주간 상승률에 따르면, 액세스프로토콜(ACS) 100% 의 상승률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주간 상승률] [업비트/코인동향] 1위 액세스프로토콜(ACS/BTC) +100.00% 2위 퀴즈톡(QTCON/BTC) +100.00% 3위 오르카(ORCA/KRW) +66.38% 4위 제타체인(ZETA/KRW) +48.19% 5위 빔(BEAM/KRW) +44.93% 6위 솔레이어(LAYER/KRW) +41.89% 7위 크로노스(CRO/KRW) +41.39% 8위 베라체인(BERA/KRW) +37.88% 9위 에이피아이쓰리(API3/BTC) +35.36% 10위 블라스트(BLAST/BTC) +33.33% 업비트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비트코인은 현재 8만 7407달러(약 1억 2875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원화 마켓에서 매수, 매도 체결 강도가 높은 가상자산들이 눈에 띄고 있다. [업비트/코인동향] [매수 TOP 5] 1위 펀디엑스(PUNDIX/KRW) +500.00% 2위 블러(BLUR/KRW) +210.33% 3위 이더리움클래식(ETC/KRW)……

Read More
켄터키, 암호화폐 자가 보관 권리 보장법 통과… 비트코인 준비금 법안도 추진 중

미국 켄터키주가 개인의 암호화폐 자산을 직접 보관하고 자유롭게 관리할 수 있는 권리를 명문화한 법안을 통과시키며, 친암호화폐 정책 흐름에 합류했다. 25일(현지시간) 더블록에 따르면, 켄터키 앤디 비셔(Andy Beshear) 주지사는 하원법안 701호(HB 701)를 공식 서명해 법률로 제정했다. 해당 법안은 '블록체인 디지털 자산 관련 법안'이라는 명칭으로, 지난 2월 28일 하원에서 만장일치(91-0), 3월 13일 상원에서도 만장일치(37-0)로 통과된 바 있다. HB 701은 켄터키 주민이 암호화폐를 자가 보관형 지갑(self-custody wallets)으로 직접 소유하고 관리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며, 지방 정부가 암호화폐 채굴 사업을 차별적으로 제한하거나 금지하는 규제를 제정하는……

Read More
우엑스, 새 WOO 스테이킹 모델 도입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우엑스(WOO X)가 새로운 WOO 스테이킹 모델 마이 우(My WOO)를 도입했다고 밝혔다. WOO 토큰을 보유하거나 스테이킹해 거래 수수료 할인 등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기존의 인플레이션 방식 보상이 아닌 우엑스 및 우파이(WOOFi) 거래 수수료에서 발생하는 실제 수익을 보상으로 제공한다. 언스테이킹 수수료는 따로 없으며 24시간 내에 출금 가능하고, 우엑스가 온체인 스테이킹의 복잡한 과정을 대신 관리, USDC 수익을 자동으로 WOO 토큰으로 재투자해주어 추가 설정 없이 보유한 WOO가 점점 늘어나게 되는 구조다. WOO 생태계 VP 벤 요크(Ben Yorke)는 \"WOO 총……

Read More
외신 \"팔콘엑스, 고위급 임원 최소 10명 이탈\"

코인데스크가 사안에 정통한 두 소식통을 인용 \"암호화폐 프라임 브로커리지 업체 팔콘엑스(FalconX)에서 고위급 임원들의 이탈이 계속되고 있다. 최소 10명의 고위급 임원이 최근 팔콘엑스를 떠난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다. 소식통은 최근 사직한 임원 중에는 유럽 지사장, 최고준법감시책임자, 총괄 법률 고문, 크레딧 총괄 등이 포함됐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된 코인데스크의 질의에 팔콘엑스 측은 \"지난해 임직원 수가 약 두 배로 늘었고, 팔콘엑스의 팀 규모는 계속 성장하고 있다. 특정 인사 문제에 대해 언급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ad More
[DEX 리포트] RFC·TALK·IVANKA 등 솔라나 밈코인 중심으로 급등…24시간 거래량 68억달러

탈중앙화 거래소(DEX)는 중개자 없이 개인 간(P2P) 직접 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소다. 스마트 컨트랙트와 온체인 데이터 기반 거래로 운영 투명성을 보장한다. 지갑만 연결하면 자금 예치 없이 거래할 수 있어 사용자 자산 통제권, 익명성, 자유도가 높다. 밈코인 열풍 속에 신속한 신규 상장을 지원하며 더욱 활성화되고 있다. DEX 리포트는 지난 24시간 동안 주목받은 거래쌍과 급등·급락 종목, 거래량, 거래 건수, 거래 지갑 수 기준 상위 종목을 정리했다. [편집자 주] 트렌딩 TOP 3 (6시간 기준) 26일 8시 16분 기준 덱스 스크리너(DEX Screener) 데이터에……

Read More
美 정부, 자산 토큰화 적극 검토… 비트코인 편입 논의도 활발

NYDIG의 수석 연구원 그렉 시폴라로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미국 정부의 자산 토큰화와 블록체인 기술 활용이 비트코인(BTC)을 포함한 암호화폐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시폴라로는 미국 정부가 금(Gold) 준비금의 가치 평가를 재조정하고 블록체인 기반의 투명한 감사 시스템을 도입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며, 이 과정에서 실물 자산(RWA: Real World Asset)의 토큰화가 주목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블랙록(BlackRock), 피델리티(Fidelity) 등 글로벌 자산운용사들도 이미 국채 및 머니마켓펀드(MMF) 등 다양한 금융 상품을 블록체인에서 토큰화하는 실험을 진행 중이다. 정부 차원의 자산 토큰화 흐름과 맞물려, 일부 미국 정치인들은……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