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국토교통부가 산불과 같은 재난 상황에 대응하고 공항에서 조류를 퇴치하는 용도의 드론 개발에 나선다.
국토부는 25일 고중량 소방 드론과 공항 조류퇴치용 AI드론 도입을 위해 \'드론 상용화 지원\' 사업을 공모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항공안전기술원 주관으로 진행된다.오는 26일부터 7월 4일까지 신청을 받고 이후 서류 및 발표 평가를 거쳐 7월 중 최종 사업자를 선정해 본격적으로 사업에 착수한다.국토부는 최근 초대형·동시다발적으로 산불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야간에 헬기 진화가 어렵고, 사람의 접근이 곤란한 지역 등이 많은 점 등을 고려해 다양한 수단을 활용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우선 국토부는 100kg 이상 탑재가 가능한 고중량 소방특화 드론 개발을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오는 2027년까지 총 115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올해에만 70억 원을 집중 투입하는 국토부는 외국에서 상용화된 고중량 드론을 우선 도입하고, 이를 기반으로 국산화 기술개발도 함께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을 통해 국내 기술로 개발된 고중량 드론은 향후 관계 부처 현장 실증을 실시하고, 국토부 기체 인증을 거쳐 현장에 투입할 방침이다.
공항 조류대응 AI드론은 올해와 내년까지 총 50억 원을 투입하며 올해 공모를 통해 30억 원 규모의 예산으로 개발을 시작한다. 이번에 개발하는 드론은 공항 주변 4km 이내의 조류를 탐지하고, 조류 활동 패턴을 분석해 감지·추적·퇴치가 가능한 다수의 군집 비행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예정이다. 조류 퇴치 드론에는 다양한 임무 장비를 탑재할 수 있고 레이더 및 영상 인식 기술을 융합한 지능형 AI 알고리즘을 통해 조류 위험을 사전에 감지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개발할 계획이다.국토부 김기훈 첨단항공과장은 \"최근 발생한 여러 재난 상황에서 활용될 드론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면서 \"첨단 기술이 적용된 소방 드론과 공항 조류대응 AI드론 개발을 통해 국민 안전을 한층 강화하고, K-드론 국산화 기술개발을 통해 드론 산업 활성화도 도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공모 사업과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오는 26일부터 \'드론정보포털\'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